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6장
Chapter 06
AWS 서버 환경을 만들어보자 -AWS EC2
AWS 회원가입
AWS 공식사이트(aws.amazon.com/ko/)로 이동 후 무료 계정 만들기
지원 플랜에서 기본 플랜 선택
EC2 인스턴스 생성하기
ECS란? AWS에서 제공하는 성능, 용량 등을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
- 서비스가 구동될 지역(리전)을 아래와 같이 서울로 변경
- 검색창에 EC2를 입력 -> 인스턴스 시작 -> 아마존 리눅스 1 AMI 사용
-> 인스턴스 유형 : t2.micro -> 스토리지 크기 30GB로 변경
-> Name 태그 추가 -> 보안 그룹 추가
- 다른 곳에서 다시 접속할 때는 해당 장소의 IP를 SSH에 규칙에 추가
- 인스턴스로 접근하기 위한 pem키(비밀키) 생성
고정 IP 할당하기
- EIP 할당
왼쪽 탭에서 탄력적 IP를 누르고 새 주소를 할당해 탄력적 IP를 발급 -> 이를 방금 생성한 EC2 주소와 연결
EC2 서버에 접속하기
- putty 사이트(https://www.putty.org)
위의 그림의 here을 클릭 후, putty.exe, puttygen.exe 다운
puttygen.exe 실행 후, Conversions -> Imported Key 선택해서 내려받은 pem 키를 선택 -> Save
putty.exe 실행 후, Host Name에 ec2-user@탄력적 주소 등록
Connection -> SSH -> AuTH -> Browse.. -> 전에 생성한 ppk 파일 선택
-> Session 탭으로 이동해 저장할 파일 이름 등록 후 Save
이제 Open을 누르고 예로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이 SSH접속이 성공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아마존 리눅스1 서버 생성시 꼭 해야 할 설정들
1. Java 8 설치
EC2에서 아래의 명령어 입력
sudo yum install -y java-1.8.0-openjdk-devel.x86_64
설치완료 후 아래의 명령어 입력
sudo /usr/sbin/alternatives --config java
사용하지 않는 Java7 삭제
2. 타임존 변경
sudo rm /etc/localtime
sdo ln -s /usr/share/zoneinfo/Asia/Seoul /etc/localtime
- date 명령어로 타임존이 KST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3. Hostname 변경
아래 명령어로 편집 파일 열기
sudo vim /etc/sysconfig/network
각 서버가 어느 서비스인지 표현하기 위해 HOSTNAME을 아래와 같이 변경
변경 후 sudo reboot로 다시 접속해보면 HOSTNAME이 잘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아래 명령어를 친 후, HOSTNAME을 등록
sudo vim /etc/hosts
잘 등록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80포트로 접근이 안된다는 에러가 발생
이는 아직 80포트로 실행된 서비스가 없음을 의미 즉, curl 호스트 이름으로 실행은 잘 되었음을 의미한다.